정전이 처음 이뤄졌을 때는 방 7개짜리 건물이었다. 세종 때 절의 공간이 부족하여 세종은 정전의 바로 서쪽에 영녕전을 세웠다. 영녕전은 조묘(趙 descendants)라고도 불렸는데, 조묘(趙 ancestors)는 왕실의 조상과 자손이 함께 평정을 이루어야 한다는 뜻이며, 절에서 이사가 되었다는 뜻이다. 16칸으로 구성된 영녕전은 정전보다 규모가 작고 신영토 34위다. 그러나 검은 기와와 붉은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월대와 하월대가 있어 정전과 비슷하게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지붕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당의 전체 지붕이 곧은 반면, 영녕전은 중앙 태실이 높은 곳에 있다. 태조의 증조부와 그 부모의 위패가 담긴 4개의 방으로 구성된 영녕전은 정전보다 작고 편안하다. 영녕전에는 뚜..
정전은 옆으로 길게 뻗은 1층 건물이다. 검은 지붕과 붉은 기둥이 늘어서 있어 엄숙하고 성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지만 한편으로는 매우 간결하고 간결하다. 무심코 보면 평범해 보이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고 보면 어느 건물보다 흥미로운 점이 많다. 정전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화려한 부분이 없다는 점이다. 궁궐이나 유명한 옛 건물에서는 화려한 단청은 고사하고 흔한 조각품조차 찾아볼 수 없다. 장식은 모두 동서양의 지붕에 있는 악령을 보호하는 것이다. 정전은 제사를 지내기에 신성한 곳이라 간결하고 옷차림이 없었다. 정전을 받치고 있는 20개의 기둥을 자세히 보면 모두 같은 모양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단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연장하는 과정에서 정전 형태가 바뀌었고, 건물의 안정성과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종묘의 정문인 외대문에 들어서면 왕과 왕비들이 다녀간 험하고 울퉁불퉁한 돌길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면서 절의 상징인 정묘 입구로 이어진다. 남문을 지나 정전에 이르면 웅장한 모습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가로 109m, 세로 69m의 넓은 담벼락에 세워진 정전은 웅장한 건물이다. 가로 101m로 국내에서 가장 긴 목조 건물이다. 깜깜한 건물 앞에는 '월대'라는 가느다란 돌대가 있다. 정전의 위엄을 발휘하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내도록 만들어졌다. 하단에는 하월대, 상단에는 상월대 등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의 마당인 월대를 이루는 돌은 매우 거칠고 땅은 평평하지 않다. 바닥에 거친 돌을 사용하는 것은 경박한 지상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것으로, 지면의 경사가 평평하지 않아 폭우로부터 자연스레 벗어날 ..